지금은 생소한 낱말들

사극(史劇) 『추노(推奴)』대사(臺詞)에 나오는 옛말들

noddle0610 2010. 2. 12. 23:30

 

 

 

사극(史劇) 추노(奴)대사(詞)에 나오는 옛말

 

 

  언니 : 동성(同性)의 손윗사람을 부르는 말.

 

  새살 그만 까고 : 수다 그만 떨고

 

  자모전가(子母錢家) : 사채업자(私債業者)

  자모전(子母錢) ; 이자가 붙은 돈. 본전과 이자.

 

  왼새끼 꼬다 : 비아냥거린다.

  왼새끼 : 외로 꼰 새끼.

  왼새끼를 꼰다 : 속담.

    ① 비비 틀려 나가는 일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② 비비 꼬아서 말하거나 비아냥거리다.

  왼새끼 내던졌다 : 두 번 다시 돌아볼 생각 없이 아주 내버릴 때 이르는 말.

2010.01.6(수)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살변(殺變) : 살인(殺人)

2010.01.7(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중화(中火) : 길 가다가 중도에서 점심을 먹음. 또는 그 점심.

 

  추달(推撻) : 죄를 물어 매질함.

 

  고태골 : 공동묘지.

  공동묘지 지역이었던 '고태골'에서 유래. '고태골'은 한성부 동북쪽, 현재의 은평구(恩平區) 신사동(新寺洞)에 해당되는 지역에 ‘세력골’과 ‘고태골’이 있었는데, ‘고태골’에는 묘소만이 즐비하게 있었다. 여기에서 유래한 "고태골 가다"란 말은 '죽는다'는 의미로 널리 사용하게 되었고, 점차 '고태골 가다 >골로 가다'로 말을 줄여 쓰게 되었다. 그러나 '골로 가다'는 '관(棺)'을 뜻하는 옛말 '골'에서 유래하여 '관 속으로 들어가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는 주장도 있다.[박영수, '우리말 뉘앙스 사전' 참조]

2010.01.14(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등가(登假) : [명사] 승하(昇遐). ※ Naver 국어사전 참조

         2010.01.21(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명철방(明哲坊) : [명사] 동대문 인근  오장동 부근 ※ Naver 국어사전 참조

☞ 2010.01.21(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공곡(公穀) : [명사] 국가나 관청에서 가지고 있는 곡식.≒관곡(官穀) · 국곡(國穀). 

                     ※ Naver 국어사전 참조

2010.01.21(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밀상(密商) : 밀거래 상인. 법을 어기며 몰래하는 장사, 또는 그 장수

  각궁(角弓) : 물소 뿔로 탄성(彈性)을 높인 조선 고유 활.

  환천(還賤) : 노비를 풀어 주었다가 다시 노비로 만듦.

  육것 : 고기

  서답 : 생리대(生理帶).

2010.01.27(수)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행하(行下) :

    ① 놀이 후 기생이나 광대가 관람객에게서 받는 돈.

    ② 품삯 이외에 더 주거나, 경사가 있을 때 주인이 하인에게 주던 돈이나 물품.

2010.01.28(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계당주(桂糖酒) : 계피(桂皮)와 꿀을 소주에 넣어 만든 술

  계당주(桂當酒) : 계피와 당귀(當歸)를 소주에 담가 만든 술

2010.01.28(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어한(禦寒) : 추위에 언 몸을 녹임.

   예(例) : 추노꾼 최장군(崔將軍)이 대길(大吉)에게 날씨도 추운데 어디 가서 어한(禦寒)이나 하다 가자고 말했다.

 

  집주름 : 집 흥정 붙이는 일을 업(業)으로 삼는 사람. 가쾌(家儈).

   예(例) : 연실이는 집주름의 뒤를 따라서 묵묵히 걸었다.《金東仁, 金姸實傳》

2010.02.11(목) KBS 2TV 수목 드라마 '추노(推奴)'

 

 

――――――――――――――――――――――――――――――――――――――

 

 

 

39900

 

 

'지금은 생소한 낱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왼새끼 꼬다  (0) 2010.03.04
꼴두국수  (0) 2010.02.28
연환계(鉛丸契)와 연환(鉛丸)   (0) 2010.02.12
용모파기(容貌疤記)  (0) 2010.02.06
백납병(百納屛)  (0) 2010.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