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공(三共) 광화문이여, 안녕!

광화문, 안녕!

noddle0610 2006. 12. 12. 15:31

 

光化門, 안녕!

 

 丙戌年 12월 광화문 철거 및 복원 공사 착수에 앞서

 

· /  박  노  들  

   

 

 

 

 

          일찍이 서양(西洋)에서

          모든 길이 로마(Rome)로 통했다면

 

          아 조선(我朝鮮)에선

          지나간 5백년 동안

 

          모든 길이

          이녁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사통팔달(四通八達)의

          원점(原點)에다 세운 문(門)이라서일까요?

 

          제왕(帝王)의 성덕(聖德)을

          심산유곡(深山幽谷)에 이르기까지

 

          어두운 밤에도 골고루 대낮같이

          환하게 밝히려는 포부(抱負)로,

 

          애당초엔 오문(午門)이라 부르던

          이녁의 이름을

 

          세종(世宗) 전하(殿下)께오선

          광화문(光化門)으로 고쳐 부르게 하셨지요.

 

          이녁을 세운

          정삼봉(鄭三峰)에게

 

          애당초 오문(午門)을 굳이 그 자리에 세운

          경위(涇渭)를 물어 보고도 싶지만

 

          5백여년 전에 죽은 그이는

          이제 아무 말을 할 수 없고

 

          그가 머물렀던

          도담(道潭) 삼봉(三峰)은

 

          아예 짙푸른 물에 잠겨 버렸나니…….

 

          이녁이 태어날 때

          꾸었던 꿈이 너무 커서인지

 

          아니면

 

          이녁을 세운 조선(朝鮮) 태조대왕(太祖大王)과

          개국(開國) 일등공신(一等功臣) 삼봉(三峰) 선생이

 

          손에 붉은 피를 너무 많이 묻혀서인지

 

          광화문(光化門)은

          한양(漢陽)에 세워진 지

 

          2백년 만에

          왜적(倭敵)들한테

 

          저 임진년(壬辰年) 당년(當年)에

          송두리째 불살라져

 

          2백여년 동안

          아예 자취를 감추었으니…….

 

          불타는 한양성(漢陽城),

          불타는 경복궁(景福宮),

          불타는 광화문(光化門)

          ……………………

 

          한데 어우러져

          불타오르는 모습들은

 

          온통 핏빛보다 더 붉은

          화광(火光)이었다고들 하더이다.

 

          어허허, 설마 열성조(列聖朝)들이 세운

          역사(歷史) 앞에서

 

          이녁이 심심파적(破寂)으로

 

          술래잡기 놀이나 하려고

          무려 2백년이나 걸린

 

          그 긴 세월을

 

          아 조선(我朝鮮)에서

          사라진 것은 아니었을 것이외다.

 

          제아무리 집을 잘 지켜도

          작정하고 찾아온 도둑놈 하나를

          장정(壯丁) 열 명이 못 막는다는데,

 

          임금이건

          신하이건

          백성이건

 

          아 조선(我朝鮮)에서 진정으로

          이녁을 지켜 줄 마음을 갖춘 이가

 

          이율곡(李栗谷) 선생 빼놓고는

          정말 단 한 분도 안 계셔서,

 

          아마도 이녁이

          당시(當時)

 

          우리 조상(祖上)님들한테

 

          단단히

          ……

          크게

          ……

 

          삐치셨던 듯하외다.

 

          정확히 말해 273년 동안이나

          우리 조상님들 곁을 떠나

 

          멀리 도솔천(兜率天) 하늘에

          올라가 있으셨으니 말이옵니다. 

 

          허허허, 일찍이 어느 시인이

          이렇게 노래했다던가요?

 

          이녁은 우리 겨레의 종교(宗敎),

          차라리 한 채의 소슬한 종교(宗敎)였다고!……

 

          조선(朝鮮) 사람은 이녁의 머리로부터

          버선코까지 떠받들어야 할 마련이지만

 

          온 하늘에 넘쳐흐르는 푸른 광명을

          이녁처럼

 

          의젓이 그 날개 죽지 위에

          싣고 있는 자(者)도 드물다고!……

 

          하하하. 각설(却說)하고,

 

          이녁이 그 빼어난 자태를

          아 조선(我朝鮮)에 다시 나타낸 때는

 

          이 나라 종묘사직(宗廟社稷) 전체가

          총체적으로 기울어져 가던 때,

 

          강화도령(江華道令) 요절(夭折)하고 나서

          연날리기 소년 개똥이가 보위(寶位)에

          오르신 지 얼마 안 되었을 때였으니, 

           

          실로 너무너무 오래간만이었습니다.

 

          좀더 일찍 오셔서

          이녁의 이름이 지닌 뜻 그대로

 

          밝은 대낮의 태양처럼 찬란히

          이 나라를 교화(敎化)시켜 주실 걸

          그랬나 보오이다.

 

          어허허, 만시지탄(晩時之歎)이란 말은

          이녁이 두 번째로 아 조선(我朝鮮)에

          찾아오신 것을 이르는 말인가 보오이다.

 

          다 망해가는 처지에

          집이나 번듯하면 무엇하옵니까.

 

          가산(家産)을 다시 일으켜 세울

          생각은 안 하고

 

          남 보기에 좋으라고

 

          솟을대문(~大門)만 그럴 듯하게

          지어 놓으면 무엇하리이까.

 

          이런저런 사연

          다 제쳐 놓고

 

          다시 세워진 이녁의 위용(威容)만은

          정말 대단했던가 보오이다.

 

          일본인(日本人)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이녁의 위용(偉容)에 찬탄(讚嘆)한 나머지

 

          왜인(倭人)답지 않게 아예 울부짖었다던가요?……

 

          오오 광화문이여, 광화문이여, 웅대하여라.

 

          지금으로부터 50여 년 전

          너의 왕국의 강력한 섭정대원군(攝政大院君)이

          불굴의 의지로써 왕궁을 지키고자

          남쪽으로 명당자리에 너의 주춧돌을 굳게 다졌다.

 

          여기에 조선이 있노라 자랑하듯이…….

 

          라고 말이옵니다.

 

          이녁의 빼어난 자태(姿態)와

          위엄찬 모습 앞에

 

          아 조선(我朝鮮)을 36년 동안이나

          차지했던 왜인(倭人)들은

 

          괜히 오금이 저리는지

 

          오등(吾等)의 조상님들은

          말할 나위도 없고

 

          심지어는 제 놈들과 한패인

          야나기 센세이(先生)’

 

          반대(反對)를 무릅쓰고

 

          저 1592년 왜란(倭亂) 때처럼

          이녁을 없애진 못했지만

 

          굳이 이 나라의 상징(象徵)이던

          광화문을 경복궁 동쪽 문(門)께로 옮겨 놓고

 

          다시 한 번 이녁을

          욕보이고 말았나이다

 

          이 나라 대궐(大闕)의 정문(正門)을

          측문(側門) 자리로 옮겨 놓고

 

          이녁이 섰던 자리에는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와

          사이코 다카모리(西鄕隆盛)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의 후예(後裔)들이

 

          천년만년 아 조선(我朝鮮)을 굳건하게

          통치할 기반을 더욱 공고(鞏固)히 하려

 

          동대문(東大門)밖

          창신동(昌信洞) 뒷산에 널린

 

          화강암(花崗岩)을 헐어다가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건물을

          우뚝 세우더이다.

 

          오호(嗚呼), 통재(痛哉)라!……

 

          이녁이 자리를 옮기고

          그 자리에 들어선

 

          흉물(凶物)스러운

          초대형(超大型) 석조전(石造殿)은

 

          저 만주(滿洲) 땅 집안현(輯安縣) 판석령(板石領)의

          위(魏)나라 장수 관구검(貫丘儉) 기공비(紀功碑),

 

          송파(松坡) 삼전도(三田渡)의

          청태종공덕비(淸太宗功德碑)와 더불어

 

          이녁과 이녁의 뒷편에 서 있던

          흥례문(興禮門)을 헐고

 

          그 자리에 세운 굴욕(屈辱)의 석조물(石造物)

          바로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청사(廳舍)이어니…….

 

          오등(吾等)의 땅에

          외구(外寇)에 의해 세워진

 

          삼대(三大) 석조물(石造物) 중 하나였습니다.

 

          아으, 아으!……

 

          다시는 우리 땅에

          이민족(異民族)을 기리는

 

          굴욕의 석물(石物)들이 더 이상

          들어서지 않았으면 하외다.

 

          이녁은 조선왕조의 사직(社稷)과 더불어

          이제 더 이상(以上)

          우리의 종교(宗敎)는 아니지만

 

          우리 조상(祖上)의 목숨과 맞바꾼

          땀과 눈물과 세월(歲月),

 

          피맺힌  돈

          …… ……

          원납전(願納錢)

          당백전(當百錢)

          …… ……

 

          온갖 정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니,

 

          이녁은 바로 우리 겨레의 상징

          그 자체(自體), 전부(全部)이며

 

          우리 겨레의 자존심(自尊心)이외다.

 

          첩실(妾室)에게 쫓겨난 본처(本妻)처럼

          왜놈들 등쌀에 견디지 못하고

 

          경복궁 동문(東門)께로 쫓겨 가

 

          건춘문(建春門) 이북(以北)에서

          숨죽인 듯 더부살이로 지내던 이녁은

 

          광복(光復) 이후에도

 

          어느 날부터인가

          옛 총독부(總督府) 청사(廳舍)가

 

          중앙청(中央廳)으로

          이름만 바뀐 채 

 

          여전히 서슬 퍼런 모습으로

          있는 것을 보고,

 

          오랜 세월 몸에 밴

          인고(忍苦)의 미덕(美德)으로

 

          그저 은인자중(隱忍自重)하며

          권토중래(捲土重來)할 날만 기다렸나이다.

 

          아, 왜놈들 말고

          이 땅에서 그 누가

 

          감히 이녁을 무너뜨리게 할 줄

          미리 알았으리요!……

 

          동족상잔(同族相殘)의 6.25 사변(事變)은

          우리의 상식(常識)을 깨트리고

 

          이녁의 몸을 허공(虛空) 중에

 

          산산이 부서지게

          흩어지게 했나이다.

 

          이 땅에서 왜놈들이 물러가는

          그런 날이 오면

 

          아 조선(我朝鮮)이 모두

          다 낙토(樂土)로 변할 줄 알았는데

 

          이녁은 제자리로 돌아오기는커녕

 

          1950년 여름 그 무덥던 어느 날

          다시 긴 여행(旅行)을 떠나셨나이다.

 

          이녁의 아름다운 모습은

          탄흔(彈痕) 투성이의 석축(石築) 일부만 남기고

 

          훼절(毁折)한 여인처럼

          우리 곁을 떠났지만,

 

          온 겨레의 가슴엔

          이녁의 모습이

          여전히 남아 있었습니다.

 

          6.25 사변이 끝나고

 

          제1공화국 시대와

          제2공화국 시대를 거쳐

 

          다시 제3공화국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도

 

          이녁의 아름다운 모습은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

 

          우리 겨레는 이녁을 다시 맞아들일 날을

          아주 오래 예감(豫感)하고 있었습니다.

 

          이녁을 워낙 사랑하고 있었기에

          우리는 예감이 곧 현실로 변하리라는 것도

          확신하였습니다

 

          이녁을 향한

          아 조선(我朝鮮)의 마음과

 

          도솔천(兜率天) 하늘을 외로이

          여행하던 이녁의 마음이

 

          서로 감응(感應)을 일으켜

 

          지금 있는 그 자리

          바로 그 자리에서

 

          1968년 어느 겨울날

          우리는 반갑게

          다시 해후(邂逅)하였나이다.  

 

          이녁의 부활(復活)과 재림(再臨)을

          온 누리에 선포하던 그 날,

 

          아 조선(我朝鮮)의 언론(言論)은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새 광화문이 최신공법(最新工法)에 의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構造)로 복원되어

 

          앞으로 4, 5백년 이상 족히 갈 것이라

          칭송(稱頌)이 자자(藉藉)하더니만,

 

          겨우 40년도 못 가서

          멀쩡한 이녁을 훼손하여

 

          이제는 전통공법(傳統工法)에 의해

          목조(木造) 건물로 다시 짓는다고

 

          일제히 야단야단(惹端惹端)들이니,

 

          오호(嗚呼)!……

          이 나라의 어린 백성(百姓)들은

 

          앞으로 어느 날까지

          위정자(爲政者)들의 손짓에 의해

 

          부라부라!”

 

          좌우(左右)로 부라질만

          계속하려는지요?

 

          지금은 세종대왕 때도 아니고

          구름재[雲峴宮]에서 연날리기하던 소년이

          임금이 된 때는 더더구나 아닌데 말입니다.

 

          옛날엔 옛날의 공법(工法)이

          어제는 어제의 공법(工法)이

 

          20세기와 21세기엔

          20세기와 21세기의

 

          자재(資材)와 최신공법으로

 

          당대(當代)의 정수(精髓)를 다 드러내기만 하면

          될 터인데 말입니다.

 

          작년(昨年)에 저 동해(東海) 바닷가에서

          불어닥친 거센 해풍(海風)으로

          화마(火魔)에 휩싸여

 

          형체도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녹아 버린

          강원도 낙산사(洛山寺) 범종(梵鍾) 이야기를

 

          혹시 이녁은 기억하시나요?……

 

          얼마 전에 강원도 낙산사 동종(銅鐘)을

          새로 완벽하게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언론(言論)에서 떠들썩하게

          보도(報道)한 일이 있습니다만,

 

        이제 어느 누구도 새 범종을

          우리 나라의 소중한 문화재(文化財)라고

          말하지는 않습니다.

 

          새 종(鐘)은 옛날 종(鐘)의 훌륭한

          모조품(模造品)에 불과할 뿐, 

 

          범종 안에다가 어느 나으리의

          고명(高名)하신 이름을 새겨 넣었대서

          단박에 문화재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이지요.

 

        하나의 사물(事物)이

          문화재가 되려면

 

          세월(歲月)의 흐름과 사연(事緣)과

          시대적 의의(意義)가

          켜켜이 얹히고 쌓여야 하는 법(法)이어니!……

 

          적어도 이녁은

          한 세대(世代)의 흐름 속에서

 

          한동안 대문(大門)이 없던

          옛 궁궐의 허전함을

          훌륭하게 메꿔 주고,

 

          옛 조선총독부 청사가 있던 자리의

          억센 땅 기운[地氣]을 꾹꾹 눌러 주며,

 

          권력(權力)의 지근(至近) 거리에 자리잡은 채

 

          요동(搖動)치는 현대사(現代史)의 전개를

          죄다 지켜보지 않았습니까?……

 

          상하 양층(上下兩層)

          다락이

 

          순도(純度) 백(百) 퍼센트(percent)

          철근(鐵筋) 콘크리트(concrete)

          되어 있다손 치더라도

 

          거기에 현판을 누가 썼든지 간에

          역사적 의의를 지닌 이녁은

          이미 생생한 문화재(文化財)이십니다.

 

          이제 이녁은 6.25로 사라진 옛 광화문의

          단순한 모조품이거나 짝퉁이 아닌

          나름대로의 유서(由緖)를 지녔사외다.

 

          어허허!

        어허허!

 

          위정자(爲政者)들의 기호(嗜好)나

          그때그때 취향(趣向) 때문에

 

          공청회(公聽會)조차 제대로 안한 채

          국민투표도 거치지 않고

 

          멀쩡한 역사적 유물을 부수는 일은

          이제 깨끗이 청산해야 하겠습니다.

 

          새로이 복원(復元)한답시고

          외려 역사를 왜곡하는 일이나 없어야겠습니다.

 

          이녁을 지키는 수문장(守門將) 종사관(從事官)

          군복(軍服) 위에 덧입은 붉은색 전포(戰袍)가

 

          마치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우리 나라에 쳐들어온

          용골대(龍骨大)와 마부대(馬富大)가 입었던

 

          청(淸)나라 마괘자(馬褂子)처럼

          디자인(design)되었기에

 

          너무도 기가 막혀서

          사뢰는 말씀이옵니다.

 

          허허허!……

          허허허!……

 

          1968년에 세워져

          오늘까지 그 자리를 다소곳이 지킨

 

          이녁의 38년은

          이미 우리 나라의 역사(歷史)가 되었습니다.

 

          이녁의 복원(復元)을 발원(發願)하고

          이녁의 부활을 지켜 본

 

          박정희 대통령과 그의 통치(統治)와

          그의 죽음을 이녁은 다 지켜보았기 때문입니다.

 

          이녁은 중앙청(中央廳) 광장에서 거행한

          고(故) 육영수 여사의 국민장(國民葬)과

 

          박정희 대통령의 국장(國葬)을

          바로 코앞에서 지켜보아야 했고,

 

          올해 1026일 날

          오전(午前)에는

 

          고(故) 최규하 대통령의 국민장(國民葬)을

          마지막으로 지켜보아야 했습니다.

 

          1927년 이녁을 경복궁(景福宮) 동문(東門)께로

          쫓아낸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청사(廳舍)가

 

          광복(光復) 50주년을 맞아

          김영삼 대통령의 지시로

 

          철저히 갈가리

          부서지는 것을

 

          역력(歷歷)히 지켜본 이녁은

          이미 훌륭한 역사적 기념물(記念物)입니다.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제6공화국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 ……

 

          무려 일곱 분의 대통령(大統領)을 겪은

          이녁의 역사적 기념물로서의 가치가

 

          공청회(公聽會)조차 제대로 안한 채

          국민투표도 거치지 않고

 

          철저히 무시당한 채

          이제 다시 과거 역사 속으로 사라지려하니,

 

          저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

          탈레반(Taliban)들이

 

          종교적으로나 이념적으로나

          지독한 자기 독선(自己獨善)에 빠져

 

          바미안(Bamiyan) 계곡의 마애석불(磨崖石佛)들을

          무자비(無慈悲)하게 파괴하여

 

          전(全) 인류의

          양심(良心)과

 

          심지어는 비불교도(非佛敎徒)들의

          공분(公憤)까지 불러일으킨 일이

 

          불현듯 까닭 모르게

          한 민초(民草)의 뇌리(腦裏)를 스칩니다.

 

          대한민국의 문화재(文化財)를

          다루시는 분들은

 

          전문가(專門家) 중에서도 전문가이시며  

          죄다 제제다사(濟濟多士)뿐이시라

 

          믿고 또 믿고

          또 또 믿고 싶습니다만,

 

          이녁을 복원할 당시의 통치자(統治者)에 대한

          세상의 훼예(毁譽) 포폄(褒貶)으로 인해

 

          국민적 동의 없이

 

          이녁을

          이렇게

 

          부랴부랴 떠나보내는 것은 아닌지

          정녕 모르겠습니다.

 

          어떤 이들은  이녁의 이름을

          한글 현판(懸板)으로 써 붙인 이에 대한

 

          세간(世間)의 시비(是非) 때문이라고 하더이다만,

 

          아, 정말이지 우리 나라가 싫어질까 봐

          사실로 믿진 않으렵니다.

 

          어느 날 이녁을 보러 갔다가

          중국에서 온 한 무리의 관광객들이

 

          흥례문(興禮門)과

          근정전(勤政殿)의

 

          한자(漢字) 씌어진 현판을 촬영하면서 

          어깨를 으쓱대며 아는 척하는 것을 보고

 

          자괴감(自愧感)을 느낀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세계 최고(最古)의 측우기(測雨器)에

 

          한자(漢字)로

          중국 연호(年號)가 새겨져 있대서

 

          자기들 것이라고 우겨대는

          중국학자(中國學者)들과

 

          저 천 년 전 신라(新羅) 최고(最古)의 목판(木板)

          다라니경(陀羅尼經)이 한자(漢字)로 씌어졌다 해서

 

          자기들 나라에서 하사(下賜)한 것이라고

          역사를 왜곡(歪曲)하는 사람들이

 

          바로 중국인(中國人)들이었기에,

 

          공식문서에 한자(漢字)를 표기수단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 지어진 건물의 현판은 어쩔 도리가 없는데도

 

          아 조선(我朝鮮)이 자기들 속국(屬國)이었음을

          자랑스러워하는 중국인들 앞에서는

 

          나도 모르게 어쩔 수 없이

          자괴감(自愧感)을 느껴야 했습니다.

 

          엊그제는 이녁을

          마지막으로 만나러 갔다가

 

          수문장(守門將) 교대 의식(交代儀式)을

          보고 나서,

 

          이녁의 한글 현판을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에 담고자

          길 건너편에서 단체촬영을 하는 중국인들을 보고

 

          깜짝 놀란 일도 있습니다.

 

          중국인(中國人)들은 멀리서 거리를 둔 채

          망원 렌즈(望遠 Lens)를 조절하여

 

          상하 양층(上下兩層)의 지붕과 지붕 사이에

          덩그러니 걸린 현판을 찍으며

 

          광화문이란 한글을 몰라 당황해하였습니다.

 

          아, 그날 중국인들은

          광화문의 한글 현판을 보고 나서야

 

          비로소 우리 대~한민국(大韓民國)

          고유의 문화와 글자를 지닌 나라임을

 

          실감(實感)했을 것입니다.

 

          1968년에 지어진 이녁의 현판은 당연히

          光化門이 아닌 광화문입니다.

 

          2009년에 복원할 이름 또한 당연히

          光化門이 아닌 광화문입니다.

 

          우리 나라의 글자

          나랏 말쌈이 한글이니

 

          이녁의 이름은 光化門이 아닌 광화문이 마땅합니다.

 

          1867년에 복원한 이녁의 이름은

          당시 사람 임태영(任泰瑛)이 한자(漢字)로 썼고,

 

          1968년 겨울에 복원한 이녁의 현판은

          당시 사람 박정희 대통령이 한글로 쓴 것이 옳았듯이

 

          2009년에 복원할 이녁의 현판 또한

          살아 있는 당대(當代) 명필(名筆)에 의해

 

          한글로 씌어져야 마땅할 것입니다.

 

          궁궐 문(宮闕門)의 현판이니

          오랜 세월 궁(宮)에서 발전해 내려온

 

          궁서체(宮書體) 한글이

          딱 좋겠습니다.

 

          태종(太宗) 임금 때 당대(當代) 최고의 명필(名筆)로

          인구(人口)에 회자(膾炙)하던 양녕대군(讓寧大君)이

 

          남대문(南大門)의 현판을 써서

          오늘에 고스란히 이르듯이

 

          오늘날 지어진 건물의 이름은

          그와 인연이 있는 생존 인물이

 

          마땅히 현판에 글씨를 써야 할 것입니다.

 

          경복궁이 불타 없던 시대에

          보위(寶位)에 오르신

          정조(正祖)대왕이나

 

          불타버리다가 겨우 잔재(殘滓)만 남긴

          서사관(書寫官) 임태영(任泰瑛)의

          현판 글씨를 복원하느니,

 

          차라리 후세에 길이 남을

          명필(名筆) 명작(名作)을

 

          널리 공모(公募)하여

 

          이녁을 빛나게 해 주는 것이

          낫지 않겠습니까.

 

          앞으로 3년 후

          어느 대통령께서

 

          이녁의 부활을 선포하고 축하의 테이프(tape)

          끊을지는 모르겠사오나

 

          이미 세 번씩이나 도솔천(兜率天) 하늘까지

          긴 여행을 한 이녁이니 만큼

 

          이번에 마지막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거든

          차후(此後)엔 결단코

 

          네 번째 긴 여행을 하는 일이

          없기만 바라옵니다.

 

          전통적으로 동양에서는

          지난 수천 년 동안

 

          ()라는 숫자를

          아주 재수 없는 숫자,

 

          기피(忌避)의 숫자로

          여겼으니까 말이옵니다.

 

          설령 이 나라 이 겨레가

          이녁을

 

          단단히

          크게

 

          삐치게 했다손 쳐도

 

          다시는 우리 앞에서

          샐쭉 사라지지 마십시오.

 

          아, 까짓것 바람이 좀 불어와

          이녁 앞에 낙엽이 지저분하게 떨어진들

 

          가만 두어두십시오.

 

          오늘 이녁 앞에 떨어진

          노란 은행(銀杏) 잎 낙엽은

 

          자태(姿態)가 고우므로

          당장은 쓸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대궐(大闕) 출입문으로서 한 오백 년 지녀온

          서슬 퍼렇던 위엄(威嚴)은 사라졌을지 모르지만

 

          여전히 이녁은

 

          바로 뒷문 밖 청와대(靑瓦臺)와

          바로 앞의 정부(政府) 종합청사(綜合廳舍) 사이에서

 

          한 채의 소슬한 종교적 성소(聖所)보다

          더 무거운 권위(權威)로서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군림(君臨)하고 있으십니다.

 

          의젓하게 자리를 지키십시오.

 

          세종대왕이 지어 주신

          이녁의 이름 광화(光化)란 말엔

 

          빛이 사방(四方)을 덮고

          가르침이 만방(萬方)에 미친다는 뜻이

          깃들여 있사오니,

 

          이녁은 그저 가만히 그 자리를

          지켜 주시기만 해도

 

          우리와 우리의 후손은

 

          국태민안(國泰民安)의

          희망(希望)과 평화(平和)와

 

          안정(安定)을

          느낄 것이옵니다.

 

          이녁이 원래 자리에서

          모습을 감출 때마다

 

          과거 우리 나라 역사가

          너무나 크게 요동(搖動)쳤기에

 

          우리 백성(百姓)들은

 

          두 손 모아

          이렇게 빌겠나이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광화문이여. 

          광화문이여. 

 

          삼년 후(三年後) 다시 오시거들랑

 

          앞으론 그 자리에서 꼼짝 말고

          영원(永遠)하소서. 

 

          아 조선(我朝鮮)에선

          지나간 5백년 동안

 

          모든 길이

 

          광화문 앞길에서

          시작되었듯이

 

          오늘도

          앞으로도

 

          사통팔달(四通八達)의

          원점(原點)이 되어

 

          대한민국의 심장부(心臟部)로서

          변함없이 존재하소서.

 

          오오, 광화문(光化門)이여!……

          

 

200611초하룻날(수요일) 오후 

 

출전 : 졸고(拙稿), Daum blog 노들 누리, 대한민국 사랑, 2006.11.01. 23:50

 

 

[덧붙이는 글] 

 

올해가 다 저물기 전에124일자(日字)로 문화재청(文化財廳)에서 광화문 해체 및 복원 공사 착수를 선포하는 행사를 한다기에, 바로 한 달 전(前)인 10월의 마지막 주말(週末)에 디지털 카메라(DSC)를 어깨에 둘러 메고 광화문을 찾아가 개인적으로 작별을 고(告)한 연후(然後)에 수첩(手帖)에다가 소생(小生)의 소회(所懷)를 끼적끼적해 보았습니다. 아무튼지 간에 이런저런 거시기(?)’한 사유들 때문에 제3공화국(第三共和國) 시절에 복원한 현재(現在)의 광화문이 아직도 멀쩡하고 늠름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해체된다고 하니, 인간적으로 서운한 마음을 억제할 길이 없습니다.

 

39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