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산책 소감

보슬비 오는 거리

noddle0610 2008. 4. 27. 23:13

 

 

 

     『유행가

 

 

보슬비 오는 거리

 

1965년 최고 히트송보슬비 오는 거리 감상하며

                      

 

 

 

 

                    보슬비 오는

                    거리에서

 

                    가장

                    멋진 곳은

 

                    1960년대 시절  

                    서울의 명동(明洞) 길과

 

                    덕수궁

                    돌담장 길이다.

               

                    그 때

                    거기에선

 

                    보슬비 무드(mood)에

                    흠뻑 젖은

 

                    젊은 연인(戀人)들이

 

                    우산(雨傘) 속에서

                    조용히 웃다가

 

                    흐느껴 울었다.

 

                    요즘도 보슬비는

                    자주 오련만

 

                    21세기 서울 거리엔

                    언제부터인가

 

                    낭만(浪漫)이

 

                    자취 없이

                    사라졌다.

 

                    보슬비 오는 거리엔

 

                    촉촉이

                    트롯(trot) 음악이

 

                    흘러야

 

                    정작

                    잘 어울리는데,

 

                    21세기

                    서울의 도심(都心)엔

 

                    힙합(hip-hop)과

                    랩(rap) 음악만

 

                    빗속을 뚫고

                    어지럽게 흐를 뿐,

 

                    구원(久遠)의

                    연인상(戀人像)이

 

                    좀처럼 눈에 안 띈다.

 

                    삶은 좀 고단했지만

                    1960년대 그 시절에는

 

                    신성일(申星一)과

                    엄앵란(嚴鶯蘭)이

 

                    보슬비 맞으며

 

                    폼(form) 나게 달콤한

                    연애(戀愛)를 했었는데!……

 

                    뭐니뭐니해도

                    보슬비 오는 거리는

 

                    흑백영화(黑白映畵)로 보아야

 

                    화면(畵面)이

                    그럴싸해 보인다.

 

                    고화질(高畵質) TV

                    카메라(camera)에 찍힌

 

                    21세기

                    서울의 도심(都心)은

 

                    예전에 느꼈던

                    로맨틱(romantic)한 장소가

 

                    더 이상 아니다.

 

                    하수도(下水道)로 흘러가는

                    시커먼 구정물까지

 

                    세세히 보여 주는

                    HD-TV에서

 

                    환상(幻想) 같은 것을

                    기대한다는 것이

 

                    외려 바보.

 

                    보슬비 촉촉이 

                    오는 거리는

 

                    1960년대가  

                    가장 멋있었다.

 

                    트롯 음악과

                    흑백영화의 전성 시절,

 

                    신성일과 엄앵란이

                    사랑을 나누었던

 

                    그 때 그 시절의

 

                    명동 길과

                    덕수궁 돌담장 길을

 

                    보슬비를 맞으며

 

                    무작정

                    걷고 싶다.

 

                    나를 버리고

                    자취 없이 떠나 버린

 

                    옛 여인을

                    내 추억 속에서 불러내어

 

                    빗속에 하염없이

 

                    다시 한 번만

                    걷고 싶다.

 

  

 

 

 

  보슬비 오는 거리는 전우(田友) 선생 작사(作詞)에 김인배(金仁培) 선생이 작곡(作曲)한 노래로서, 1965년에 허스키(husky)한 목소리와 미모(美貌)까지 갖춘 팔등신(八等身)의 신인(新人) 여가수(女歌手) 성재희(成在喜)가 오리지널 송(original song)을 불렀으며, 그 성재희가 재일교포와 혼인하여 은퇴한 후에는 당시 10대(十代)였던 소녀가수(少女歌手) 문주란(文珠蘭) 양(孃)이 리바이벌(revival)하여 공전(空前)의 성공을 거둔 노래입니다.

 

  저는 이 노래를 1965년 당시로선 상당히 패셔너블(fashionable)한 의상(衣裳)을 걸친 미녀 카수(美女歌手) 성재희(成在喜) 양이 TV의 주말(週末) 쇼(show)에 출연하여 독특한 탁성(濁聲)으로 흐느끼듯 절규하듯 노래 부르는 것을 본 이래(以來), 여태껏 보슬비 오는 거리의 변함없는 팬(fan)으로서 살아왔습니다.

 

  맨 처음 보슬비 오는 거리를 TV에서 시청(視聽)하던 순간을 저는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이 노래는 장중(莊重)한 곡(曲)으로 시작하는 밴드(band)의 전주(前奏)부터 심상(尋常)찮게 저의 혼(魂)을 빼 버리기 시작하는 것이었습니다.

 

  빠아암~빰빰 빠아암~빰! 빠아바밤 빠바바밤!……

 

 보슬비 오는 거리, 이 노래가 세상에 나온 지 이미 40여년 세월이 흘렀지만, 저는 가끔 이 노래의 전주(前奏)가 시작될 무렵이면, 밴드(band)의 맨 앞에 우뚝 기립(起立)한 채 트럼펫(trumpet) 연주(演奏)를 통해 한껏 노래의 무드(mood)를 조성한 다음에야 비로소 악단(樂團)을 지휘하던 작곡가(作曲家) 김인배 선생의 믿음직한 모습이 기억 속에 생생히 떠오르곤 합니다.

 

  제가 노래방에 가서 이 노래를 부르면, 거의 음치(音痴)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이 노래의 광-팬(狂-fan)답게 박자(拍子)를 정확히 익혔기 때문인지, 아니면 저의 목소리가 커서인지 그 원인은 잘 모르지만, 어김없이 그날의 최고 점수를 받습니다. 그만치 이 노래를 좋아하기에 오랜 세월 애청(愛聽)하다 보니, 별의별 추억과 온갖 상념(想念)들이 이 노래와 더불어 저의 가슴에 켜켜이 쌓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아, 오늘도 이 노래를 오랜만에 다시 들으니, 젊은 시절이 회상(回想)되며 저의 가슴에 만감(萬感)이 교차하는군요.

      

               명동 길과

               덕수궁 돌담장 길을

 

               보슬비를 맞으며

 

               무작정

               걷고 싶다.

 

               나를 버리고

               자취 없이 떠나 버린

 

               옛 여인을

               내 추억 속에서 불러내어

 

               빗속에 하염없이

 

               다시 한 번만

               걷고 싶다. 

 

  이 글 속에 나오는 옛 여인은 실제(實際)로 제가 경험한 첫사랑의 연인(戀人)이 아닌, 저의 젊은 날의 열정 어린 이상(理想)이나 , 동경(憧憬), 아름다운 실패의 추억 등(等)을 의인화(擬人化)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저는 총각 시절에 무려 8년 동안 지독한 짝사랑을 해 본 경험은 있지만, 연애(戀愛)는 한 번도 못해 본 채 중매(仲媒)를 거쳐 혼인(婚姻)을 한 지지리 못난 남자였답니다. 요즘 젊은이들이 인터넷(internet) 상(上)에서 흔히 사용하는 말을 빌려 표현하자면, 저는 찌질이였던 셈입니다.^^ 그러나 그 옛날 총각 시절로 되돌아갈 수만 있다면, 저는 다시 한 번 찌질이가 되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ㅎ.ㅎ……

 

  보슬비 내리는 날에 덕수궁 돌담장 길을 낀 채 남녀가 데이트(date)를 하면 그야말로 운치(韻致) 있습니다. 그 근방에 있는 고등학교를 3년 동안 다녔기 때문에 저의 말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누가 그러더군요.  덕수궁 담장 길을 함께 산책(散策)한 남녀는 반드시 헤어지게 마련이라고요. 그 길은 이별수(離別數)가 있는 길이라나요.^^*

  저는 언젠가 연인(戀人)이 생긴다면 보슬비 오는 날을 택하여 그녀와 함께 그 길을 걸으리라 속다짐했었지만, 막상 덕수궁 산책길에 얽힌 전설(傳說)을 알고 나서는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미신(迷信) 따위는 믿지 않는 사람이지만, 결혼 후 부산(釜山) 출신인 제 아내가 몇 번이나 덕수궁 길 산책을 제의했지만, 저는 번번이 거절했지요. 그 대신 경회루(慶會樓) 호숫가에 아내를 자주 데려갔습니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들수록 생활(生活)이란 것의 구속을 받기에, 점점 낭만 따위와는 거리가 있는 삶을 살게 마련인가 봅니다. 젊은 시절 자주 드나들던 명동(明洞)에도 갈 일이 점점 줄어지게 되더군요.  오늘날의 서울 강남(江南) 서초동(瑞草洞)이나 신사동(新沙洞)과 압구정동(鴨鳩亭洞)의 번화가(繁華街)가 생기기 훨씬 이전에 번성(繁盛)했던 명동 일대(明洞一帶)에서 총각 시절의 한때를 보낸 저였지만 말입니다. 

  설파다방-훈목다방-초원다방-유네스코 회관 지하다방-심지다방-청자다방-목신(木神)의 집-로댕의 집, 술집 은성(銀星), OB 캐빈카이저호프, 연극(演劇)을 자주 공연(公演)하던 까페 떼아뜨르(Cafe Theater)명동 국립극장[옛 시공관(市公館)]’ 등지(等地)가 바로 제가 대학 시절(大學時節)에 자주 드나들던 곳입니다.

  보슬비 내리는 날, 연극 공연 관람이 끝난 후 친구들과 함께 술을 한 잔씩 걸친 채 명동성당(明洞聖堂) 앞 언덕길, 충무로 진고갯길, 퇴계로 길, 남산(南山)의 소월로(素月路)를 빙빙 돌며 술이 깰 때까지 이른바 개똥 철학을 논(論)하고, 유치(幼稚)하기 짝이 없는  자작시(自作詩)를 신파조(新派調)로 소리질러 낭송하곤 했지요.   

  그 후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생활하랴, 결혼 후 다섯 식구의 가장(家長) 노릇하랴, 바삐 살다 보니 명동에는 정말 갈 일이 없어지더군요.   

 

  이제는 생활 전선(生活前線)을 떠났으니, 예전에 자주 드나들던 명동에도 가 보고 싶고 고궁(古宮) 담장 길도 다시 찾아가 산책하고 싶지만, 요즘 저의 건강이 여의(如意)치 못해 이리저리 마음껏 나다니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아!…… 어서 빨리 건강을 회복해서, 사랑하는 저의 아내와 함께 낭만을 찾아 다니고 싶습니다. 

 

  봄비가 촉촉이 내리는 날, 오랜만에 명동에 가서 아내에게 얼큰한 명동 칼국수도 사 주고 싶고, 연전(年前)에 은혼식(銀婚式)도 지냈으니만큼 덕수궁을 찾아가서 돌담장 길에 얽힌 전설 따위는 그냥 무시한 채 그 운치(韻致) 있는 길을 아내와 마냥 다정하게 거닐고 싶습니다. 

 

2008 426

 

박  노  들  

 

 

 

40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