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산책 소감

'칠갑산(七甲山)' 노래를 듣노라면

noddle0610 2007. 10. 13. 20:00

 

 

칠갑산(七甲山) 노래를 듣노라면

 

사진 /   박   노   들    

 

 

 

                                                                                                                               

      칠갑산 노래를 듣노라면

 

      아직 한 번도 가 보지 못한

      칠갑산의 정경(情景)이

 

      내 고향 산천(山川)인 양

      왠지 낯익은 모습으로 떠오르고,

 

      일찌감치 청상(靑孀)이 되셨던

      우리 어머님의

 

      그 고랑 긴 콩밭을 매시던 모습이

      지금도 아련히 떠오른다.

 

      무덥고 무덥던 한여름 날에도

 

      우리 모자(母子)는

      먹고 살기 위해

 

      그 가파르고 억센

      강원도 산골 콩밭에 들어가

 

      콩 포기 포기마다

      호미로 북을 돋우느라

 

      문자(文字) 그대로

      땀으로 목욕을 하며

 

      옷을 흠뻑 적시곤 했다.

 

      어린 나는 힘겨워서

      한 포기 한 포기 김을 매다가

 

      연신 투정을 부렸고,

 

      그 때마다

      젊은 우리 어머니는

 

      노랫말 그대로 

      콩 포기마다 눈물을 심으셨다.

 

      열아홉 살에 나를 낳으시고

      방년(芳年) 스무 살에 홀어미가 되신

 

      우리 어머니!……

 

      어머니는 내가

      어른이 된 후

 

      어쩌다 당신 앞에서

      흥에 겨워

 

      칠갑산 노래를 부르면

 

      콩밭 매는 아낙네…… 홀어머니……”

      어쩌고저쩌고 하는 노랫말이 싫다 하시며

 

      다시는 그 노래를

      부르지 말라 하셨다

  

      어머니 돌아가시고 나서 

 

      강산(江山)이 한 번 더 바뀔 만큼  

      세월이 훌~쩍 흘러갔다.

 

      요즘 들어서

 

      어디에선가 칠갑산 노래가 

      내게 들릴라 치면

 

      가슴 시린 옛 추억을

      떠올리면서

 

      칠갑산 노래를

      따라 부르곤 한다.

 

      만일 어머니가 살아 계시면

      야단치실 거 같아서

 

      낮은 허밍(humming)으로

      따라 부르다가

 

      내 설움에 겨워

      그마저 멈춘다.

 

      열여섯 살 어린 나이에

 

      시골 중학교를

      졸업하고

 

      집에서 농사(農事)일을 배우던

      어느 해 여름날,

         

      어머니 따라 밭에 나가

      호미질을 하다가

 

      등줄기가 타는 듯한

      무더위와 

 

      밭고랑 사이에서

      숨이 턱턱 막힐 만큼 솟구쳐 오르는

  

      땅 속 열기(熱氣) 때문에

 

      더 이상

      참지 못하고

 

      그예 울부짖고야 말았다.

       

      당장 그 다음 날에

      무작정 나 홀로 상경(上京)하겠노라 하면서,

 

      대처(大處)에 유학(遊學)하여

      반드시 성공하겠다고 다짐하면서,

 

      열심히 공부해서 어머니를

      황금 방석(黃金方席) 위에 모시겠노라

 

      눈물로 약속드렸었다.

 

      나는 어머니 고생 덕분에

      서울 유학(遊學)을 하여

 

      우리 고향 유일의

      대학생(大學生)이 되었고

 

      우리 고향 최초의

      대학원생(大學院生)이 되었지만,

 

      끝내 어머니를 황금 방석 위에

      모시지는 못하였다.

 

      우리 어머니는

 

      조상님께서 물려주신

      전답(田畓)을 지키시겠다며

 

      춘추 예순다섯으로 돌아가실 때까지

      끝내 농부(農婦)로만 사셨다.

 

      세상이 변하고

      농촌도 변하여

 

      요즘 시골에는 

 

      젊은이가 거의 없어지고

      그들이 일하던 콩밭도 사라지고 

 

      심지어는 논두렁에 심던 배미콩마저

      구경하기 힘든 세상이 되었지만,

 

      어머니를 여의고 만 

      이 불효자식(不孝子息)한테는

 

      오늘도 칠갑산 노래를 듣노라면

 

      한 번도 가 보지 못한

      충청도 칠갑산의 정경이

 

      내 고향 강원도 산천(山川)인 양

      왠지 낯익은 모습으로 떠오르고,

 

      일찌감치 청상(靑孀)이 되셨던

      우리 어머님의

 

      그 고랑 긴 콩밭을 매시던 모습이

      아련히 떠오른다.

 

 

 

 

20071013 일 토요일 오후 

 

 

39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