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 언어

조사 ‘-(으)로써/-(으)로서’와 어미 ‘-므로/-으로’

noddle0610 2005. 9. 28. 01:03

 

 

 

 

 

조사-(으)로써/-(으)로서어미 -므로/-으로 

                                                       

  다음의 ‘~으로써’와 ‘로써’ 및 ‘~으로서’ 와 ‘~로서’ 부분과  ~므로’와 ‘~으로’에 대한 설명을 잘 읽어 보시고 명확하게 구분하여,  앞으로 좋은 글을 쓰시기 바랍니다.

       

  ~으로써’ : ‘ㄹ’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에 붙어, 도구, 재료,

                   수단 등의 의미(‘~를 가지고’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

          <예>   • 사랑으로써 아이들을 돌보다.

                  • 노래를 부름으로써 스트레스를 풀다.

                                                                       

 ◈ ‘~로써’ 모음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에 붙어, 도구-재료-수단

            등의  의미(‘~를 가지고’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

          <예> 눈물로써 호소하다.      칼로써 과일을 깎는다.

                    • 방패로써 적을 막아라.


  ▣ ‘~으로서’ :  ‘ㄹ’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에 붙어서 자격-구실

                    나타내거나, 어떠한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예> 학생으로서 그럴 수는 없다.     • 내가 국회의장으로서 한마디 하겠소.

           • 운동은 정신의 훈련으로서도 중요하다.

              • 독도(獨島) 영유권 분쟁은 저 편으로서 시작되었으니, 우리도 대마도

           (對馬島)가 우리 땅이라고 선언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로서’ : 모음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에 붙어, 자격-구실

                    나타내거나, 어떠한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예>  • 예술가로서 그런 파렴치한 행동을 하다니.

              • 음악은 삶의 윤활유로서 우리의 정신을 풍요롭게 한다.

              • 이 싸움은 너로서 시작되었다. 

 

  ●  ‘~므로’ : 모음이나 ‘ㄹ'받침으로 끝나는 어간, 또는 어미 ‘-시-’ 아래에

                    붙어, 이유-까닭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사용.

      <예>  • 그가 나를 좋아하므로 나도 그를 좋아한다.

               • 이것은 독버섯이므로 먹어서는 안 된다.

               • 최홍만 선수는 키가 크므로, 상대 선수보다 유리하다. 


  ●  ‘~으로’ :  ‘ㄹ'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에 붙는 부사격 조사.

 

          도구(톱으로 나무를 베다).   재료(콩으로 메주를 쑤다).

          방법-방식-수단(사랑으로 대하다).

          원인-이유(심장병으로 죽다).    지향점(고향으로 가다).

          신분-지위-자격-구실(총각으로 행세하다. 회장으로 뽑히다).

          변화(암흑으로 변화하다).       구분(셋으로 나누다).

          시간 선택(다음 주 중으로 들르마),

          또는 ‘~로 하여금’의 꼴로 쓰여 무엇을 하게 하는 대상임을 나타냄

          (적으로 하여금 오판하도록 유도하다).

 

  이 글은 Daum 신지식 홈의 《신지식>교육, 학교>한글, 국어》코너에 네티즌이 질문(2005-08-29 03:58)한 것을 필자가 '한림학사'ID로 답변(2005-08-29 04:39)한 내용입니다.  

 

 

 

 

'국어 &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향조(入鄕祖)  (0) 2006.03.23
땡추스님이란  (0) 2006.03.21
'FM이다'의 어원(語源)  (0) 2006.01.22
잔반(殘飯)과 짬밥  (0) 2006.01.22
X라는 단어에 대하여  (0) 2006.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