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명상(瞑想)

실패한 부채그림[畵扇]

noddle0610 2015. 8. 18. 03:33

 

 

 

 

실패한 부채그림[畵扇]

 

그림 /         들       

 

 

          삼복(三伏)더위가 기승을 부리기에

          그 속에서 부채를 찾다가

 

          백선(白扇) 하나가

          눈에 띄기에

 

          심심풀이로

          용()무늬 아로새긴 벼루에다

          먹을 듬뿍 간 다음에

          호기(豪氣)로이 붓을 들었것다.

 

          삼복더위에 자꾸만 약해지려는

          자아(自我)를 다스릴 작정으로

          백선(白扇) 위에다

          힘차게 난초(蘭草)를 쳤다.

 

          정갈하고, 조촐하고, 

          맵시 있고,

          단정한 자태의 난초가

 

          더위에 지친 내게

          그윽한 묵향(墨香)을 풍겨 왔다.

 

          정녕 내가 그린 난초련만

          내가 그린 것 같지 않았다.

 

          심심파적으로 그렸으되

          모처럼 그린 묵란(墨蘭)

          한참 동안을 심취했것다.

 

          그림 한구석에 내 이름 석 자를

          쓴 것까진 좋았으나

          글자 크기가 너무 큰데다가

          낙관(落款)까지 실수하여

 

          아차차! 결국 그림 전체를

          다 망쳐 버렸다.

 

          애초 오돌도톨한 한지(韓紙) 바탕에

          애써 치장(治粧)한 백선(白扇)

          까칠한 성정(性情)을 모른 채

 

          호기(豪氣)를 부려

          범접(犯接)한 것이 화근(禍根)이었다.

 

          그 옛날 고려(高麗) 시절 도공(陶工)들은

          평생토록 자신들의 이름을 안 밝힌 채

          묵묵히 명품(名品) 도자기를 빚어내고 구웠다던데

 

          사군자(四君子) 그림의 기초 공부조차

          제대로 안 한 내가

          감히 이름과 낙관을 남기려 했으니,   

 

          오호! 백인(伯仁)이 유아이사(由我而死).

 

          손바닥으로 내 이마를 때리고

          주먹으로 내 가슴을 쳐도 소용 없어라.

 

          삼복더위 속에서

          그저 심심파적으로 난초를 그리려 했던

          초심(初心)을 깜빡 잊고

 

          잠시나마 욕심(慾心)을 얹은 것이

          죄()라면 죄였것다.

 

          먼 훗날 오늘과 똑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고자

 

          이 부채를 버리지 않고

          손안[手中]에 고이 간직한 채

 

          흔들리는

          다스려 나가련다.

 

 

2015 년 8 12 일  

 

 

40802

 

 

 

'나의 명상(瞑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시대에 태어났다면 이런 모습일까  (0) 2015.07.30
나의 '인생 노트(Note)'  (0) 2013.11.17
지난밤 꿈 이야기  (0) 2011.02.18
늦봄 산행(山行)  (0) 2010.05.09
인생(人生)이란  (0) 2009.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