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06.06.16(금), 메트로, A19면 / 동아닷컴, 사회, 2006-06-16 03:05
――――――――――――――――――――――――――――――――――――――――――――――――――――――――――――
[수도권]
“전통 음주예법 배워보세요”
내일까지 코엑스서 ‘향음주례’ 행사
술자리에서 첫 잔을 받지 않는 것은 전통 음주 예법에 어긋나는 것일까?
이런 궁금증을 풀어 주는 전통 ‘향음주례(鄕飮酒禮)’가 15∼1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2006 대한민국 주류박람회의 일환이다.
향음주례는 향촌의 유생들이 향교나 서원에 모여 주연(酒宴)을 여는 것을 의미하는데, 배지(拜至 · 주인이 손님을 맞아 처음 절하는 것)-배세(拜洗 · 주인이 잔을 씻는 것)-배수(拜受 · 주인이 손님에게 잔을 올리는 것)-배송(拜送 · 손님이 다시 잔을 받는 것)-배기(拜旣 · 손님이 술을 다 마심)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고 한다.
성균관석전대제보존회와 한국음주문화센터가 마련한 이 행사는 첫 잔은 반드시 받아 두어야 하며, 아랫사람은 윗사람이 허락하지 않으면 잔을 권하지 않으며, 같은 연배끼리 마실 때는 세 번씩 권하고 거절할 수 있다는 등의 예법도 알려준다.
또 홀수로 술을 마셔야 한다고 알려진 관행은 △한 잔 술로 끝나는 법은 없고(일불 · 一不) △석 잔은 부족하며(삼소 · 三少) △다섯 잔이 알맞은데(오의 · 五宜) △일곱 잔은 과하다(칠과 · 七過)는 예법이 잘못 알려진 것이라고 한다.
음주문화센터 측은 “전통 음주법이 복잡해 보이지만 주량에 맞춰 술을 마시며 강권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과음으로 치닫는 요즘 꼭 필요한 지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영 기자 argus@donga.com
ⓒ 동아일보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먹을거리-食道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부드럽게 마시려면 (0) | 2009.05.22 |
---|---|
생강 회춘술 만들기 (0) | 2008.11.26 |
고들빼기 (0) | 2008.10.28 |
라면의 역사 (0) | 2007.04.25 |
진달래꽃쌈밥 (0) | 200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