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Poesie의 세계

noddle0610 2006. 6. 13. 22:19

 

現代詩 講義 敎材

   

Poesie의 세계

                                                           

                                                                                                      박  노  들

  

 <1> 시의 특성

  ① 시(詩)는 강한 체험(體驗)압축(壓縮)된 감정의 표현이다.

      강한 체험 : 순간적 감동, 직관적 감동, 충격적 인상. 

     압축된 감정의 표현 : 갈고 다듬어진 언어, 군더더기 배제, 한 단어가

                         우주(宇宙)를 상징    

  ② 시(詩)는 일상적(日常的) 경험을 넘어선 무한(無限)한 상상(想像)의 표현이다.

  ③ 시(詩)는 압축된 표현 형식이므로 길이가 짧다.

                                   *언어 경제학적 입장에서 절제(節制) 

  ④ 시는 운문(韻文)으로 씌어진다 :

     절제(節制)된 언어(言語) · 짧은 문장(文章)으로 이루어진 시문장(詩文章)의

    호흡은 일상어(日常語)와는 다르다.

     운문(韻文) : 짧고 고운 언어(言語)의 반복(反復)에서 생기는 리듬(운율).

                       음성의 위치(位置), 강약(强弱), 고저(高低), 장단(長短)에서

                       생기는 호흡율(呼吸律) → 미적(美的) 쾌감(감각)을 줌. 


 <2> 시의 3大 요소

     음악적(音樂的) 요소 · 회화적(繪畵的) 요소 · 의미적(意味的) 요소


  ① 음악적(音樂的) 요소 : 운율(韻律)


   ★ 운율 : 내재율(內在律)외재율(外在律)


   *내재율(內在律) : 언어 자체가 지니는 음(音)의 속성, 강약(强弱), 장단

                         (長短), 고저(高低), 음질(音質) 등(等)과 문장의 세력

                         (勢力) 등이 의미(意味)와 일체(一體)가 되어 생기는

                         일종의 호흡율(呼吸律) · 정서적(情緖的) 운율.


   *외재율(外在律) :  운율의 형태가 외형(外形)에 나타나는 것.


    ㉠ 음수율(音數律) : 음절율(音節律). 음절(音節)의 수(數)를 한 단위로,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리듬[율(律)].

                            ▶민요조(民謠調) 시, 민요, 시조, 한시 

    ㉡ 음위율(音位律) : 압운(押韻). 일정한 음(音)을 일정한 위치(位置)에

                            배치(配置)하여 생기는 운율. ▶한시(漢詩). 영미시(英美詩)

         *두운(頭韻) : 시행(詩行)의 첫머리에 자리잡는 운(韻).

         *요운(腰韻) : 시행의 중간에 자리잡는 운(韻).

         *각운(脚韻) : 시행의 끝에 자리잡는 운(韻).

    ㉢ 음성율(音性律) : 음성의 강약(强弱), 장단(長短), 고저(高低), 음질(音質)

                           등의 속성(屬性)을 한 단위로,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운율.


  ② 회화적(繪畵的) 요소 : image[심상(心象) : 이마쥬]

  ③ 의미적(意味的) 요소 : 내용(內容) · 사상(思想) · 정서(情緖)를 간접적 · 암시

                           적 ·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요소

  


<3> 시의 비유(比喩)


  ① 직유(直喩 : Simile) :


     *주지(主旨)매체(媒體)의 관계가 직접적으로 비유된다.

       ▶나는 당신을 등대(燈臺)처럼 여기며 살려오.

      

     *용구(用具)는 A is like B처럼, 같이, , 등(等)이며,

     시(詩)에서는 새로운 아날로지(Analogy : 類推)를 발견하여 image를 형성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직유(直喩)가 시(詩)에서 계속하여 생명(生命)을 유지(維持)하기 위해서는

     참신성정밀성이 필요하다.  


  ② 은유(隱喩 : Metaphor) :

   * 주지(主旨)매체(媒體)의 관계가 간접적(間接的)이어서, 잘 나타나

     않음  ━  원관념(元觀念)과 보조관념(補助觀念)의 결합으로 등가(等價)의

     섬광적(閃光的) 조명(照明)을 일으켜 새로운 의미 형성.

                                                                    [I.A.Richards 이론(理論)]

   * A is B : 너는 한 떨기 장미(薔薇)


      Dead metaphor[사은유(死隱喩) : 죽은 은유 : 참신하지 못한 비유]

        언중(言衆)에 의해 이미 익숙해진 은유 : 시(詩)에서는 배제(排除) 요구

        ▶ 세월(歲月)은 유수(流水) : 세월의 덧없는 흐름을 비유.


      참신하고 개성적-독창적인 비유

        ▶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절대자(絶對者)의 발자취를 비유]

         ━━出典 : 만해(卍海)의 알 수 없어요


  ③ 의인법(擬人法 : Personification)

      * 매체(媒體)가 주지(主旨)를 인격화(人格化)시킨 비유

        ▶ 모든 산맥(山脈)들이/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에도



<4> 시의 image(心像 : 心象)

    어떤 사물을 감각적으로 정신 속에 재생시키도록 자극하는 말(詩語) 의미.

 ━━ 감각적 체험과 관계 있는 일체의 시어(詩語) 추상명사(抽象名詞)보다는

보통명사(普通名詞), 감각적 지각(知覺)을 암시하는 형용사(形容詞), 부사(副詞)로 수식된 명사(名詞), 동사(動詞).


   ▶그칠 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그칠 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 〓〓 등불

   구체적 · 감각적 사실로 제시→ image 성립 :

                                              선명한 인상의 그림자[심상 : image]가 생김.


   1) 비유적 심상 : 대유[代喩 : 환유(換喩),제유(提喩)], 명유(明喩), 은유(隱喩),

                   의인법, 우유(寓喩 : Allegory), 상징(象徵)

    *매개어(媒介語 : vehicle)와 취의(趣意 : tenor)의 화합에서 심상(心像) 확립

     ▶소리 없는 아우성[매개어(媒介語)] : 나부끼는 깃발[취의(趣意)]

      

    ☞ 대유(代喩) : 제유(提喩)-환유(換喩)

       제유(提喩) : 부분↔전체. ▷펜(문화), 칼(무력)

       환유(換喩) : 속성(屬性). ▷백합(순결), 비둘기(평화)


   2) 감각적 심상


    ① 시각적(視覺的) 심상[색채, 명암(明暗), 운동] :

        분수(噴水)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 김광균(金光均)의 《外人村)》

        분수(噴水)처럼 흩어지는 푸른 : 시각적 심상

        종소리 : 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청각적 심상 : 공감각적(共感覺的) 심상 : 공미적(共美的)

        *공감각적 심상 : 어떤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감각이 동시에 다른 영역의

                          감각을 일으키는 일예를 들자면 소리를 듣고 빛깔을  

                          느끼는 경우에서의 빛깔의 감각.

    ② 청각적(聽覺的) 심상[소리의 고저(高低), 음악성] :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는 굽이굽이 누구의 노래입니까?

        ━━작은 시내누구의 노래 〓〓 공감각적(共感覺的) 심상 형성

        작은 시내 : 시각적 심상.

        누구의 노래 : 청각적 심상

    ③ 후각적(嗅覺的) 심상[향기(香氣), 악취(惡臭)] :따스한 입김

    ④ 미각적(味覺的) 심상 :새콤한 맛

    ⑤ 촉각적(觸覺的) 심상 :부드러운, 따뜻한

    ⑥ 근육감각적 심상내장(內臟) 운동적 심상 :

      ▶역겨워, 아름따다, 사뿐히 즈려 밟고,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핏대를 세우고.


   3) 묘사적 심상 :


      * 철저한 묘사(描寫)에 의한 심상(心像).

      ▶오일도(吳一島)의 시(詩) : ‘그을 보여 준다.

      

      푸르고 높은 하늘 : 가장 흔한 심상 구성 방법

         푸르고 높은 하늘 : 문자적(文字的) 심상(literal image).

                      ━━시(詩)는 말하는 그림Europe에 퍼진 사조(思潮) :

                      서경시(敍景詩) 유행.


   4) 원형적(原型的) 심상 : 민족, 또는 인류 공통적인 상징 체계와 연결된 심상

 

    ▶사뿐히 즈려 밟고 : 여성은 깔리고’, 남성은 , 그 사이에는 붉은 꽃

      원형적 여성과 남성의 생식을 위한 원형적 교섭 상징.

         붉은 꽃’ : ‘의 원형적 상징

    


<5> 시의 상징(Symbol)


  1) 상징(象徵)


   그 자체로서 다른 것을 대표하는 사물 일체를 상징(象徵 : symbol)이라 함.


   *비유에는 원관념이 제시되나, 상징에는 원관념이 생략은유만 있다.


   ▶소녀들의 장미동산에 있는 여왕(女王) 장미(薔薇) : 단순한 은유


   ━━사랑의 성질을 암시하기 위해 장미(薔薇)를 제시하는 데 그치고, 비유적인

  틀을 내놓지 않는다면, 그것은 장미를 상징으로 바뀐 것이 된다.


   ▶지금 눈 내리고 /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매화 향기 : 절개(節介) 상징

      매화 향기 : 정신 · 의식의 표상 : 구체적 참뜻 모호 : 상징[×비유]


  2) 관습적 상징과 개성적 상징


   ① 관습적 상징(conventional symbol) : 

    

      한 사회에서 오래 사용하여, 속뜻이 널리 알려짐.

      ▶백합〓순결, 비둘기〓평화


   ② 개성적 상징(private symbol) :


      개인이 창조해 낸 독창적 상징.

      ▶가 올 때마다 작중 인물(作中人物)이 불행(不幸)해지는 스토리

         ━━ 20C 미국(美國) 작가 어네스트 헤밍웨이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

              : 불행(不幸)의 상징이자, 헤밍웨이가 창조해 낸개성적 상징


   *시는 개성적 상징을 사용해야 한다 : 신선(新鮮), 창조적 행위


  3) 상징의 구분

   

   ① 기호적(記號的) 상징 :

                ▶ 1, 2, 3 : 숫자 상징.

                ▶ ㄱ ㄴ ㄷ : 소리 상징

                ▶낱말 : 뜻을 대표.

                ▶분자식(分子式). 도표(圖表). 도형(圖形) : 관념, 생각, 형상 대표

       

   ② 제도적(制度的) 상징 : 국기(國旗)는 그 집단 소속원(所屬員)인 국민(國民)

                                  에게는  생명을 바쳐도 아깝지 않을 상징(象徵)임. 

   

   ③ 자연적(自然的) 상징 : ‘국화(菊花)는 동양인의 고결(高潔) 상징.


   ④ Allegory적(的) 상징 : 한 심상(心像)이 어떤 추상적(抽象的)인 의미를

                                  나타내되, 한 가지 의미만 대표하도록 사용.

     

     ▶인생(人生)의 정오(正午)에서/ 나는 헤어나올 수 없는 험(險)한 숲에서

      길을 잃었다. ━━신곡(神曲)서두(序頭).


      인생의 정오(正午) : 생(生)의 절반 즉 35세(歲) 상징

         험한 숲에서 길을 잃었다 정신적 고민과 방황


   

<6> 시의 분류


 1) 형식상 분류


   ① 정형시(定型詩) : 일정한 외형적 운율에 맞추어 쓴 시(詩).

                           ▶민요. 민요시. 한시(漢詩). 영시(英詩)


   ② 자유시(自由詩) : 내재율(內在律)만 있는 시(詩).

                             특정(特定)한 형식에 구애(拘碍)받지 않는 현대시.


   ③ 산문시(散文詩) : 산문적 내용을 시로 읊음.

 

   * 산문체의 시 형식(詩形式)을 갖추고는 있지만 시적(詩的) 감성, 시적(詩的)

    상상력, 시적(詩的)인 표현을 하므로, 시(詩)의 본령(本領)을 결코 벗어나진

    않음. 즉(卽), 시적(詩的) 수사(修辭), 운율, 정서, 감정 그대로임.

    ▶러시아의 투르게네프, 프랑스의 보들레르 등이 산문시의 대가(大家)임.


 2) 내용상 분류


   ① 서정시(抒情詩) : 개인적 정서, 즉 주관적 서정과 감성을 표현하며, 대부분

                             그 길이가 짧다.

   ② 서사시(敍事詩) : 영웅(英雄)의 일생이나, 국가와 민족의 운명을 이야기 형식

                            으로 노래하는 시(詩). 신화 · 전설 · 역사적 체험을 객관적

                            으로 서술 소설(小說)로 발전.

   ③ 극시(劇詩) : 운문(韻文)으로 된 대화체(對話體) 형식으로서 사건을 전개하는

                      시(詩). 즉(卽) 대화(對話)를 운문으로 쓴 희곡(戱曲).

                      ▶ 영국(英國)의 사옹(沙翁) 작품,

                      ▶ 독일 극작가 괴테파우스트 등(等)


 3) 시풍(詩風 : 경향)에 의한 분류


   ① 순수시 : 순수 예술성만을 띤 시(詩).


              *정치적, 교훈적인 목적의식 배제(排除).

              *언어 기교, 정교한 정서 등의 예술성 중시.

     

      ㄱ. 주정시(主情詩) : 감정(감각, 정서, 지적 감정)을 主內容으로 하는 시.

                         서정시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함.

 

         ▶김소월, 한용운, 서정주, 청록파의 시(詩) 등(等)과

            김상옥, 이태극, 이수복(李壽福) 등의 시조(時調).


      ㄴ. 주지시(主知詩) : 기지(機智), 지혜(智慧), 예지(叡智)의 바탕이 되는 지성

                         (知性)을 주내용(主內容)으로 하는 시(詩).


          ▶모더니즘 시 : 김광균(金光均), 김규동(金奎東) 등의 시

          ▶초현실주의(쉬르리얼리즘) 시 : 이상(李箱), 전봉건(全鳳健) 등의 시

          ▶심리주의 시 : 이상(李箱) 등의 시.


      ㄷ. 주의시(主意詩) :

          *의지(意志 : 저항 의지, 긍정, 창조 의지)를 주내용(主內容)으로 하는 시.

          ▶청마(靑馬) 유치환(柳致環) 등의 시.


    일제(日帝) 치하에서의 순수시 유파(流派) :

        1925년 경 프롤레타리아 문학[경향파 문학 : 목적주의 문학]에 대항하여

     출발한 시문학(詩文學. 1930) 동인(同人)들━━박용철(朴龍喆), 김영랑

    (金永郞), 이하윤(異河潤), 신석정(辛夕汀), 변영로(卞榮魯), 오일도(吳一島),

    김상용(金尙鎔) 등(等)에 의해 순수한 예술성만을 띤 시(詩)를 쓰고자 하는

    ‘순수시파가 등장하였다.

      이들은 ① 정치적, 교훈적인 목적의식 배제(排除), ② 언어 기교, 정교한 정서

    등의 예술성의 중시(重視)를 내걸고, 우리 나라 순수문학의 모태(母胎)를 형성

    하여, 우리 문학의 주류(主流)가 되었다. 이 순수시 유파(流派)는 이후(以後),

    생명파(生命派), 자연파(自然派), 전통파(傳統派) 등으로 확대(擴大) · 심화

    (深化) · 발전하였다.


      ㄱ. 생명파(生命派) : 서정주(徐廷柱), 유치환(柳致環)

      ㄴ. 자연파(自然派) : 박두진(朴斗鎭), 박목월(朴木月), 조지훈(趙芝薰)

      ㄷ. 전통파(傳統派) : 김소월, 한용운 


   ② 참여시(參與詩) : 목적주의, 즉 문학을 통해서 현실참여(現實參與), 사회참여

                           (社會參與 : engagement)를 꾀하는 시.

             박두진(朴斗鎭)의 후기시(後期詩). 김수영(金洙暎), 신동엽, 김지하

             (金芝河) 등의 시(詩).


 4) 기타(其他)


   ① 민요시 : 오래 전부터 민중 속에서 자연 발생한 민요, 또는 이런 형식의 시를

              민요시라 함.

              ▶아리랑, 노들 강변, 김소월, 김억(金億)의 시(詩).


   ② 애정시 : 남녀 사랑 시(詩).

              ▶김소월, 진달래꽃. ▶이상화, 나의 침실로.

              ▶여요(麗謠) 중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 가시리 · 쌍화점).


   ③ Elegy : 죽음을 애도하는 시(詩). 만가(輓歌).

              ▶김소월, 초혼(招魂).     


              만가(輓歌) : 본디 남자가 상여(喪輿) 위에서 종치며 부르는 노래.


    ④ 사상시 : 철학적 사색의 시(詩)이거나, 인생(人生) · 우주(宇宙)에 대한 관찰

                  (觀察) · 명상(瞑想)의 시(詩).



<7> 시 낭송법(朗誦法)


  ① 연(: Stanza)과 연(: Stanza) 사이에 긴 휴식(休息).

     시상(詩想)의 변화 내지 전개(展開)의 변화가 있으므로 휴식 필요

    ━━ Back Music 나오도록


  ② 행(: line)과 행(: line) 사이 짧은 휴식(休息).

     행(行)의 변화(變化)를 인식해야 차분히 시(詩)를 음미할 수 있음.


  ③ 긴 행(行)은 말의 덩어리와 덩어리 사이에서도 아주 짧은 휴식 필요.

     호흡율(呼吸律) 고려(考慮). 청자(聽者)의 내용 음미 배려(配慮)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④ 시어(詩語) 하나하나의 장단음(長短音)을 고려하여 낭송(朗誦).

    ━━ 청자(聽者)의 내용 이해 배려(配慮)


    ▶까마득한 날에/ 든 산맥들이

     ×까마득한          ×모든


  ⑤ 강조할 만한 단어(單語)에 힘을 넣어 낭송(朗誦).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디 닭 우는 소리……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못 하였으리라.


  ⑥ 낭송자가 직접 시를 쓴 시인의 감정이 되어, 절실한 감정을 넣어 낭송

   그래야 자연스럽게 시의 내용 이해까지 가능(可能)함.

   

    무감동(無感動)하게 앵무새처럼 낭독하면 안 된다.


    시의 내용이 무엇인지, 시인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음미 감정을 넣어

  낭송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시의 내용과 사상에 접근이 가능해진다. 

              


<8> 시의 독해(讀解) 요령


 시의 독해는 시 작품을 통해 시인이 최초로 경험한 그 지점에까지 소급해 올라가 작자(作者)의 심정에 이르고, 다음은 시인이 경험한 방향대로 순조롭게 다시 경험하여 그 감동을 같이 하는 일이다.

 이른바 역경험(逆經驗)과 추경험(追經驗)의 과정에서 감동적인 미감(美感)을 찾는 일이다. 그래서 시의 독해는 흔히 '시의 감상(鑑賞)'이란 말로 대신한다.

       

                (경  험)         

 시인━━━━━━━━━━>  ┃       ┃    

            (역경험)..... ┃       ┃  

    <━━━━━━━━━━- -- -- - -- -< 독자

            (추경험)..... ┃       ┃

     ━━━━━━━━━━> -┃- - - --┃- - - >(이해)


여러 번 숙독(熟讀)하여 시의 종류와 전체적인 내용을 판별한다.

 

전편(全篇)의 구성을 살핀다.

   [연(聯)행(行)에 주의하여 긴밀한 의미를 포착]

 

③ 시 정경(情景)의 변화에 특히 유의한다.

   ㄱ. 시는 연(聯)마다 정경을 전개하고 있으므로, 이 정경의 변화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계절( : 국화 옆에서), 시간(: 광야), 동작( : 승무)을 나타내는

      말에 주의한다.

   ㄴ. 서경(敍景)과 서정(抒情)이 엇갈려 있는 시는 서경(敍景)의 변화, 서정의

      변화별(變化別)로 살펴 가면, 전체 정경을 파악하는 데 편리.

   ㄷ. 서경(敍景)이 중심인 시(詩)는 작자의 감동이 표면에 잘(거의)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상상의 작용으로 그 정경의 뒤에 깃들여 있는 기분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표현 기교에 유의하면서 감상한다.

   수사법(修辭法) 중 반복, 도치, 생략, 은유, 직유, 상징, 의인법 등(等)이 많이 

     쓰이고, 운율과 이미지, 감정 이입, 연상법(聯想法), 자동 기술법(自動記述法)

    등이 쓰인다. 어구(語句)의 속뜻과 그 느낌, 뉘앙스, 정조(情調) 등을 살펴 보고

    운율과 격조(格調) 등도 음미한다.


⑤ 함축적 의미, 비유와 상징 등의 암시적 표현에 유의하여 감상한다.

 

감각적 표현이나 image를 잘 분석해 보아야 한다.

 

⑦ 시의 주제(主題)를 파악하는 요령을 터득한다.


   ㄱ. 시의 주제 감동적인 부분에 있으므로, 끊기는 표현주목한다.

     거기에 고조된 감정(感情)이 있고거기에 주제가 담겨 있을 경우가 많다.


   ㄴ. 제목(題目)이나 변화(變化), 강조(强調) 따위의 수사적 표현은 그것

        자체로서 주제를 나타내는 것보다는 오히려 주제 파악의 수단으로

        삼아야 한다소재, 제재, 중심어 파악도 좋은 수단이다.


        제재(題材) : 소재의 중심이 되는 것.

            소재(素材) : 주제의 재료.


   ㄷ. 서경적(敍景的)인 표현 서정적(抒情的)인 표현 혼합(混合)되어

      있는 서정적인 표현 부분 주제가 깃들여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우에 서경적(敍景的)인 부분 감정(感情)의 고조(高潮)를

      돕는 보조 역할을 한다.


⑧ 그 시 시풍(詩風), 경향(傾向)을 전체적으로 정리해 본다

    시가 씌어진 배경(시대적, 사회적, 종교적, 자연적 배경) 등(等) 작품의

   외재적(外在的) 요소를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두는 것도 내재적(內在的)

   요소의 정확한 이해와 함께 아주 중요하다.


 

 <9> 시작법(詩作法)


① 많이 읽고 생각하고 써야 한다.


  시를 알려면 많이 읽어야 한다. 그 시인이 어떻게 보고, 무엇을 말했는가를 

     많이 생각하여 보고, 많이 써 보고, 자신의 시적(詩的) 표현 능력을 키워야

     한다.

 

② 초보자(初步者)는 자기가 좋아하는 시인의 작품을 모방해 보는 것도 좋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 했다. 베껴 보고, 조금씩 바꾸어 보고, 만약 자신이

     그 시(詩)의 지은이였을 경우라면 어떻게 썼을까를 가정(假定)해 고쳐 보고,

     자기 개성에 맞는 스타일로 바꾸어 본다.


③ 그때그때 사물(事物)을 보고 느낀 감상을 메모하는 습관을 기른다.


   기억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선명한 인상을 그대로 간직하기 위해 메모해 둔다.

     *예(例) : <승무(僧舞)> : 조지훈 지음. 3년 만에 완성 19세에 처음으로

                승무(僧舞) 공연을 보았을 때의 인상(印象)을 생생하게 간직하고자

                산문(散文)으로 Memo 후일에 시(詩)로 재구성(再構成).


④ 남이 자주 사용하던 진부(陳腐)한 표현을 피하고 참신한 표현이 되도록 한다.


  진부(陳腐)한 표현의 시 →무감각 · 무감동

    

    *( '미인(美人)' 비유 :

                   양귀비꽃 같은 여인(女人)/ 장미꽃 같은 여인 : 진부한 표현

                   한 떨기 프리지어꽃/ 한 떨기 수선화(水仙花) : 참신(斬新)한 표현

                   청초(淸楚)한 이미지미인(美人) [호박 같은 여인청초]

  

⑤ 얻은 시상(詩想)은 반드시 구체적 언어로 형상화 시킨다 관념어 배제(排除)

   

   Memo 구체적 언어로 기록 구체적 image로 형상화.

     가능한 한(限) 관념어(觀念語) 배제(排除) 구체적 image로 비유(比喩).


  ▶고독 : 나는 외로운 기러기(낙오된 기러기)

     상념 : 턱을 괸 채 허공을 응시


⑥ 말을 절약해서 간결하면서도 많은 뜻을 담을 수 있도록, 설명적 표현을 배제(排除)하거나 피하고, 언어를 정제(세련-연마)시켜야 한다.


  압축된 형식이므로 시어(詩語) 하나가 온 우주(宇宙)를 표현할 수 있도록

   말을  절약하려면 '설명(說明)' 배제(排除).


 *구체적이며, 압축된, 참신하고, 세련된 비유 · 상징 · image로 표현해야 한다


⑦ 정경(情景)이 눈앞에 선하도록 쓴다.


  비유, 상징, 이미지를 선명하게!


⑧ image의 아름다움이 살도록 해야 한다.


  언어예술이므로 표현이 아름다워야 미적(美的) 감각(쾌감)을 주므로,

    곱고 다듬어진 정제된 언어로 표현되도록 해야 한다.


⑨ 시어(詩語), 즉 단어의 음(音)이 의미와 어울려 아름다운 리듬이 되도록 한다.


  * 상징어의 효과적 사용.

  * ''자음의 효과적 반복

  * 유성음(有聲音)의 적절한 배치(配置) : ㄴ,ㄹ, ㅁ, ㅇ, 모음(母音)

  * 장단음(長短音) 고려(考慮)


  옛 속담에도 있듯이, '' 다르고 '' 다르므로 언어의 뉘앙스를 잘 살리되,

 참신하고, 압축되고, 아름답게 표현해야 한다.

 

⑩ 가능한 한(限) 순수 고유어를 시어(詩語)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때로 향토적 정취가 물씬 나는 토속어-사투리를 쓰거나 옛말을 되살려 사용하는 것도 좋다.

 

 

   ━ Poesie의 세계원고(原稿)는 필자(筆者)가 강단(講壇)에 있을 때 

   작성하여 여러 해 동안 직접 사용한 강의 교재(敎材)임.